티스토리 뷰
--------------------작성중-------------------
배운 내용
EC2에 만든 프로젝트를 올린다
준비사항
- Filezilla 설치 → https://filezilla-project.org/download.php
- 가비아 가입 및 도메인 구입 → https://www.gabia.com
1) 로그인 후 메인페이지에서 원하는 이름의 도메인을 검색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z4kwJ/btq90mfmzmi/j5IEqmZbtAslTaVDsAk9V1/img.png)
2) .shop 도메인 (500원/1년)을 선택하고 구매한다. (추천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YKly9/btq92x1y9If/FbKJObpwkShidKEvat9vLK/img.png)
3) 결제 기간을 1년으로 해서 500원으로 결제 가능하도록 한다.
4) 1000원 이하는 카드 결제가 안되기 때문에 무통장 입금을 선택해서 결제를 진행한다.
프로젝트 런칭하기 (배포)
웹 서비스를 런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항상 응답할 수 있는 서버가 필요하다.
그러기 위해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 한다.
그리고 공개 주소로 외부에서도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.
→ AWS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ec2 서버를 구매할 겁니다.
배포 시 관련 용어
IP 주소: 컴퓨터가 통신할 수 있도록 컴퓨터마다 가지는 고유한 주소이다.
포트: 하나의 IP주소에 여러 포트가 있습니다. 하나의 포트에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.
AWS 서버 구매하기
1) AWS 가입을 하고 로그인을 합니다.
2) 검색 창에 ec2를 검색하고 EC2 서비스를 클릭합니다.
3) 지역이 Seoul로 되어있는지 체크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wMNz/btq9RdwKEEF/ImPeVY7tklkb4bWi9YAoK1/img.png)
4) 대시보드에서 인스턴스를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ma7r/btq90mT3o7L/1NTqIRqgIGuuIEcug7Y7v0/img.png)
5)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르고 "단계 1: Amazon Machine Image(AMI) 선택"에서 Ubuntu Server 18.04 LTS를 선 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jpmbT/btq91oRBAhp/qGMikxDQ8avW0bteXNlVDK/img.png)
6) "단계 2: 인스턴스 유형 선택"에서 t2.micro를 선택하고 검토 및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2De4/btq9VkbCXAW/eK19XyEK5PuPBZlRaKL0P0/img.png)
7)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고 새 키 페어 생성을 누릅니다. (원하는 키 페어 이름을 입력합니다.)
그리고 키 페어 다운로드 버튼을 꼭 눌러주세요! 이제 인스턴스 시작을 누르면 인스턴스가 생성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M3fM/btq90lt23Rs/TK4kE5KEznJt4PPZQBEIf1/img.png)
※ AWS는 처음 가입한 날짜부터 12개월간 한정된 사용량을 제공하기 때문에 나중에 12개월 이내에 해당 인스턴 스를 선택한 다음 마우스 우클릭으로 인스턴스 종료를 해주어야 합니다.
EC2에 접속하기
- Mac OS: spotlight에 terminal 입력 후 실행
- Windows: ssh가 없기 때문에 git bash 프로그램을 실행
※ Mac OS 사용자만 keypair 접근 권한을 바꿔주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. 이후부터는 Mac OS 사용자와 Windows 사용자 모두 동일한 코드를 입력한다.
sudo chmod 400 다운받은_키페어파일을_끌어다놓기
- ssh로 접속하기
ssh -i 받은키페어를끌어다놓기 ubuntu@내아이피주소
# 내아이피주소는 AWS 인스턴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. (퍼블릭 IPv4 주소 확인)
서버 세팅하기
filezilla를 이용해서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들을 서버로 업로드 및 다운로드한다.
1) FileZilla에 들어와서 File 밑에 있는 버튼을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5oMU/btq9TFNU1aq/To59FwDLvFLSFmvKwot1XK/img.png)
2) New site를 클릭하고 원하는 이름의 적는다. 그리고 프로토콜을 SFTP로 변경하고 호스트에 퍼블릭 IPv4 주소를 입력한다. (aws 인스턴스에서 확인 가능하다.) 포트에는 22로 작성해준다.
그리고 사용자에 ubuntu라고 입력하고 키 파일 부분은 아까 다운받은 키 파일 경로를 찾아서 선택한다.
모든 정보를 입력했으면 이제 확인 버튼 눌러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KFIp/btq9Y4GbqEE/r7i3HAXpMSkI2hJsQyF521/img.png)
이제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파일들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면 된다.
서버 환경 통일하기
https: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materials.spartacodingclub.kr/web101/week5/initial_ec2.sh
다음 링크를 새 탭에 붙여넣어 initial_ec2.sh 파일을 다운받는다.
FileZiila에서 initial_ec2.sh 파일을
'스파르타코딩클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앱 개발 준비하기: React native와 Expo 설치 (0) | 2021.09.18 |
---|---|
앱개발에 쓰이는 Javascript 문법 (0) | 2021.08.09 |